한국 경찰청-캐나다 업무협약

 윤희근 경찰청장이 29일(수) 캐나다 연방경찰청을 방문해 한인사회 보호와 사이버 위협 등 국제범죄 대응을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

 윤청장은 마이클 듀헴 연방경찰청장(대행)과 ▵사이버·안보 위협 ▵마약 등 국제범죄 대응 ▵국외도피사범 송환 등 국제공조 ▵상호 재외국민보호 등을 논의하고 한-캐나다 경찰청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 자리에서 윤청장은 “수교 60주년의 역사를 함께 한 캐나다는 한국전쟁에 참전한 대한민국의 혈맹”이라고 강조하고, “세계에서 치안이 가장 안정된 나라로 손꼽히는 한국과 캐나다가 사이버·안보 위협과 테러·조직범죄 등 국제범죄에 공동 대응하고, 상호 재외국민보호는 물론, 개발도상국 경찰역량 강화를 위한 미래지향적 협력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듀헴 청장은 “세계 최고수준의 과학수사와 사이버 수사역량을 보유하고, 개발도상국 경찰역량 강화사업 경험이 풍부한 한국경찰과의 협력을 환영하며, 앞으로 양국의 더욱 다양한 협력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양국 경찰청장이 합의한 포괄적 업무협약은 ▵사이버·안보 위협 ▵초국가범죄 ▵테러 ▵마약 등 국제범죄 대응을 위해 협력 분야와 방식을 확정하고 이행전략을 구체화하는 등 실질적 협력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윤청장은 이어 토론토에서 총영사관과 함께 한인사회 안전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한인단체장과 한인경찰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광고

토론토 한국기업 취업박람회

토론토 진출 한국기업 온라인 취업박람회가 주토론토대한민국 총영사관 주최, 대한무역투자공사(KOTRA) 토론토지부 주관으로 오는 4월 27일(목), 28일(금) 오전 10시~오후 5시에 열린다.  

온타리오 소재 한국기업 10개사와 구직자간 온라인 개별면접(사전 일정 조율)을 한다. 영어 및 한국어 능통한 (예비) 졸업생 및 구직자 대상이다.

캐나다 IT 취업 경험을 공유하는 세미나와 1:1 면접 코칭 및 이력서 첨삭 등의 온라인 멘토링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자세한 내용 및 참가신청(마감 4월 9일)은 웹사이트(c11.kr/kotra-jobfair-spring-23) 참고.

연방예산안 경제 활력에 방점

연방정부가 인플레이션 장기화에 따른 경제위기 극복으로 민생 안정·의료에 중점을 둔 새 예산안을 지난 28일 발표했다.

경제 활력에 방점이 찍힌 이 예산안에서 부동산 업계가 눈여겨 볼만한 것은 첫 집 구입 희망자들에게 매우 고무적인 절세혜택이다. 면세 첫 주택 저축 계좌인 FHSA(Tax-Free First Home Savings Account)가 주요 시중은행에서 4월1일부터 제공을 시작한다. 또한 모기지 보호도 관심을 갖고 지켜 볼 항목이다.

물론 한인들이 많은 관심을 가질 항목으로 저소득 및 중산층 가구를 돕는 ▶치과진료 보조금 대상 확대 ▶교육적금 인출한도 인상 ▶저소득층 그로서리 리베이트 등도 담겼다.

 우선 FHSA는 첫 내집 마련자들의 다운페이를 지원해주는 목적으로 지난해 소개된 절세투자 계좌로 구입 액수에 대해 세금공제 혜택을 제공한다. 차후 첫 주택 장만을 위해 인출할 경우 모든 액수에 대한 비과세 수혜를 준다.

 연간 구입 한도 등의 제한 사항이 있지만, 획기적인 절세투자 수단이므로 집 장만을 계획하고 있다면 FHSA를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예외적인 상황에 직면한’ 모기지를 FCAC(Financial Consumer Agency of Canada)를 통해 보호하는 계획도 소개됐다.

이에 대해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부총리겸 재무장관은 “특히 정부는 캐나다인을 보호하기 위해 금융기관에서 모기지 만기 연장, 지불 일정 조정, 일괄 상환 등 대출자가 직면한 상황에 적합한 공정하고 공평한 구호 조치를 제공하도록 한다”고 말했다. 세부적인 내용은 추후 발표될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지난해 가을부터 연간 총 소득이 9만 달러 이하이면서 민간 보험사에 가입하지 않은 중-저소득 가정의 12세 미만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시작된 치과진료비 지원 대상이 18세 이하와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 등으로 확대된다.

이를 위해 2023-24년도 보건 및 치과 치료 분야에 대한 지출 예산이 70억 달러 증액된다.

 소수정권인 자유당은 지난해 3월 향후 3년간 입법 활동에서 신민당의 지원을 약속받고 치과보조 프로그램을 수락했다. 이에 따라 2025년 말까지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치과비 지원을 하게 된다.

 이 혜택은 치과에서 제공하는 구강 수술 및 진단, 예방, 복구, 치주, 보철 및 치과 교정 서비스 등 법률로 정해진 진료에 적용된다.

또한 대학생들을 위한 학자금 대출 한도가 주당 210달러에서 300달러로 늘어나고, 학자금 보조금이 40% 인상되며, 교육적금(RESP)의 인출 한도가 정규 학생의 경우 5,000달러에서 8,000달러(시간제 학생 2,500달러에서 4,000달러)로 확대된다.

이외 중소업체와 소비자에게 전가된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interchange fees)를 27% 인하하기로 카드사와 합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치솟는 식료품 가격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소득 가구를 위해서는 25억 달러를 들여 일회성 그로서리 지원금(grocery rebate)을 제공한다. 두 자녀를 둔 가정은 최대 467달러, 독신자 234달러, 시니어 225달러를 각각 받는다.

정부는 총 1100만 가구가 이번 지원의 혜택을 받을 것으로 추산했다. 지원금은 GST 환급을 통해 지급된다. (김효태 기자 | htkim22@gmail.com)

외국인 주택구입 규제 완화

캐나다가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던 주택구입 규제를 완화했다.

연방정부는 주택시장 안정화를 위해 올해 1월부터 2년간 비거주 외국인에 대해 주택 구입을 금지한 바 있다. 외국인들이 투기를 목적으로 집을 사면서 매물 부족으로 가격이 올라 실구입자들이 피해를 본다는 이유였다.

그러나 정부는 지난 28일 “새로운 규제가 오히려 신규 이민자들의 주택 구입을 막는 등 부작용을 초래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규정을 완화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에 따라 캐나다 취업비자 소지자의 경우 주택 1채를 주거용으로 구입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취업비자 만료일이 183일 미만일 경우 이전과 같이 구매가 제한된다.

또한 비거주 외국인이나 기업의 경우, 주택 개발 목적의 토지구매도 가능하다.

고정 모기지율 뜻밖의 하락

 주택 고정 모기지 이자율이 예기치 않게 하락하고 있다.

미국 SVB은행(Silicon Valley Bank)과 시그니처뱅크(Signature Bank)의 파산 이후 국채 수익률이 폭락했고, 그 결과 모기지 대출기관이 국채와 연동된 5년 고정 모기지 이자율을 최대 0.4%포인트까지 인하했다. 게다가 앞으로 이자율은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일부 전문가들은 “지금이 고정으로 묶을 때”라고 조언했다. 또한 “이자율의 약간 후퇴에 성급한 판단을 경계한다”고도 했다.

Ratesdotca의 모기지 전문가 빅터 트랜에 따르면 여러 대출기관들이 고정 이자율을 인하하기 시작했다. 현재 보험을 든 경우의 고정 모기지율은 5년물이 4.49%, 3년물 4.59% 수준이다. 무보험은 5년 4.79%, 3년 4.89%.

 트랜은 “앞으로 더 많은 대출기관이 이자율을 조정할 것으로 예상한다. 집을 사고자 한다면 지금이 사전 승인을 받을 때다”고 말했다.

BMO 캐피탈 로버트 카브식 수석 이코노미스트도 “지금 당장 모기지 이자율을 사전 승인 받아놓아도 나쁠 것이 없다”고 거들었다.

 버틀러모기지의 론 버틀러는 “이런 정도의 모기지 이자율을 받는 바이어는 오랫동안 기다려온 보람을 느낄 것이다. 작년에는 5년 고정 이자율이 5.09%에서 6.09% 사이였다”고 설명했다.

 버틀러에 따르면 국채 수익률 하락과 그에 따라 고정 이자율이 내려가는 것은 전문가와 대다분의 관계자들이 중앙은행에서 금리 인상을 중단했다고 믿기 때문이다. 그리고 미국의 연준도 머지않아 추가 금리 인상을 멈출 것으로 여겨진다.

 버틀러는 “고정 이자율이 2%나 3%까지 떨어질 것 같지는 않지만, 향후 변동보다 더 나은 선택일 수 있다. 지난 35년과 달리 내년 또는 그 후년까지 고정이 캐나다인에게 유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이자율 급등을 목격한 변동 모기지 소유자의 경우 현재가 고정할 기회일 수 있지만 5년 고정은 피하라고 조언했다.

 버틀러는 “추천하는 것은 3년 고정이다. 이자율이 향후 1~2년에 걸쳐 인하될 예상이라면 5년 동안 묶일 필요가 없다. 현재 3년이 가장 매력적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반면 카브식은 “차입 비용은 낮아졌지만 자금 가용성과 전반적인 신용조건은 강화될 수 있다. 경제가 어떻게 전개되느냐에 따라 함정이 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악의 상황은 확실히 끝났다. 그러나 다음 단계에서 신용조건이 강화되고, 경제가 약화되고, 일부 일자리 손실이 발생한다면 반드시 주택시장의 조정이 끝난 것으로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단지 주택 모기지 이자율이 약간 후퇴했다고 해서 정말로 빠른 전환을 보게 될 것이라는 의미가 아니다”고 경계했다. (김효태 기자 | htkim22@gmail.com)

워터프론트 별장 마련 적기

경치 좋은 워터프론트에 별장을 마련할 계획이라면 올해 과감히 일을 저지르는 것이 좋을 듯하다.

부동산회사 로열르페이지의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은 레크리에이션 부동산을 구입할 적기가 될 수 있다. 온타리오의 휴양지역 단독주택 가격이 올해 5% 하락할 전망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온타리오 주택시장의 전반적인 집값 하락에도 불구하고 레크리에이션 지역 단독주택 가격은 7.3% 상승한 평균 63만4,800달러로 강세였다.

특히 워터프론트 단독주택은 8.9%나 오른 100만6,600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르페이지는 올해의 경우 인플레이션과 공급 부족, 수요 감소 등으로 약세를 점치고 있다.

르페이지가 자사 중개인 2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캐나다의 레크리에이션 부동산에 대한 수요와 공급의 부진이 폭넓게 예상됐다.

필 소퍼 CEO는 “카티지(Cottage)와 오두막(Chalet)에 대한 수요 감소는 팬데믹 기간 동안 광범위한 원격근무에서 사무실로의 복귀 때문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온타리오의 카티지 구매 희망자들은 조지아만 지역의 선택된 소수 시장을 제외하고, 전역에 걸쳐 가격 하락을 기대할 수 있다. 구매자가 주도하는 시장이 될 예정이다. 

 작년 온주에서 가장 비싼 레크리에이션 부동산 시장은 무스코카 지역에 형성됐다. 이곳의 워터프론트 주택 평균가격은 106만2,500달러로 비쌌지만 전년 대비 16% 하락한 것이었다.

 소퍼는 “사람들은 (레크리에이션 부동산을 살 때) 럭셔리한 것을 원하는 경향이 있다. 전반적으로 수요가 적어서 좀 더 찾아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인 밀집 영-스틸스 4개 빌딩

 한인 밀집지역인 영-스틸스 인근(212 Steeles Ave. W.)에 주상복합 4개 빌딩이 개발된다.

 최근 토론토와 욕 시에 제출된 개발제안서에 따르면 43층, 37층, 24층, 12층 높이에 달하는 타워를 세워 총 1,085유닛의 새로운 주거공간을 제공한다.

 2단계로 15~20년 걸쳐 진행하며, 현재 해당 부지의 3개 자동차딜러인 폭스바겐(Volkswagen Villa), 볼보(Volvo Villa), 수바루(Willowdale Subarau)는 순차적으로 폐점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스틸스 애비뉴 쪽에 37층(285유닛)과 그 뒤에 12층(100유닛) 타워를 건축한다. 스튜디오 10유닛, 1베드룸 196유닛, 2베드룸 161유닛, 3베드룸 19유닛으로 구성된다. 37층 타워의 지상층에는 소매 공간도 들어선다.

 이 단계에서 폭스바겐 대리점은 철거되며, 수바루와 볼보 딜러는 계속 영업한다.

 두 번째 개발단계에서는 스틸스 애비뉴 쪽에 43층(440유닛)과 뒤쪽으로 24층(260유닛) 타워가 세워지며, 역시 스튜디오와 1~3베드룸이 들어선다. 역시 앞쪽 43층 타워의 지상층에는 소매 공간이 제공된다.

 이 때 북쪽 타워의 남동쪽 부분에 연결된 388평방미터의 다목적 실내 커뮤니티 공간도 건설된다.

 모두 완공되면 4개 주상복합 빌딩에는 총 975개의 주차공간이 지하에 4개 층으로 제공된다. 또한 북쪽에 새로운 공원도 조성된다. (김효태 기자 | htkim22@gmail.com)

한카자선재단 본격 활동


▲이광형 재단 부이사장(왼쪽 2번째부터), 장영 이사장, 레니슨 컬리지웬디플레(President), 코트 이건(Director)

 한카자선재단(KCCF, 이사장 장영)은 최근 원주민 학생들을 위한 장학금 프로그램 개설을 위해 워털루대학교 레니슨 칼리지에 6,000달러를 기부했다.


 해당 장학금은 대학 내 원주민 학생들이 경제적, 사회적 한계를 극복하고 대학교육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레니슨 칼리지 진실과 화해 위원회(Call to Action of the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ttee)와 긴밀한 협력을 해왔다.


 이번 기부에 대해 레니슨 칼리지의 코트 이건 디렉터는 “캐나다의 미래에 보탬이 되는 매우 모범적인 일”이라며 감사를 표했다.

생태희망연대 창립 1주년 행사


 토론토생태희망연대(HNET: 대표 정필상)는 창립 1주년을 기념해 오는 4월 2일(일) 오후 2시~5시 ‘기후변화-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을까?’라는 주제로 기후위기의 현재와 미래,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삶의 여러 지혜 등을 나눈다.
 

 본 <한인뉴스 부동산캐나다>가 후원하는 이 행사의 장소는 토론토 Leaside Gardens(1073 Millwood Rd. 베이뷰 & 에글린턴). 


 환경전문가 김신영 박사의 ‘기후변화, 우리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온라인 강연, ‘우리집 솔라패널 설치하기’(정필립), ‘생활 속의 탄소감축’(클라라 킴), ‘탈탄소 시대의 현명한 소비생활’(김미경), ‘토론토의 환경단체들’(Brian Champ) 등이 이어진다.


 또한 친환경 소재를 이용해 생명의 아름다움을 예찬하고, 버려지거나 낡은 아이템을 작품으로 승화시킨 김우길 작가의 작품 전시도 함께 열린다.


 행사 참가비 10달러. 사전 등록(forms.gle/UiGY6zKzMKwPgjXe8)해야 하며, 참가자 전원에게 15달러 상당 친환경 제품 지급. 문의: 416-898-1612


 HNET은 지난해 1월 창립됐으며, 지난 1년간 기후생태위기의 이해101 세미나(2회), 산책하며 쓰레기 줍기, 기독교인의 눈으로 본 기후위기, 생태 공원 가꾸기 등의 이벤트를 실시했다.

타민족 커뮤니티 한국문화체험


▲지난해 행사에 참가한 학생들


 토론토한인회(회장 김정희)는 타민족 커뮤니티와의 활발한 소통과 교류사업의 일환으로 오는 28일(화)과 29일(수) ‘한국문화체험’을 개최한다.
 

 재외동포재단에서 지원하는 행사로 St. John Paul 가톨릭 세컨더리 스쿨 학생들을 한인회관에 초청해 한국의 음식, 놀이 및 의복 문화를 체험하게 한다. 테이블 매너, 젓가락 사용법, 전통놀이(딱지 만들기, 제기차기), 붕어빵, 달고나 등 길거리음식 만들기 등을 해본다.


 지난해 이 학교 9학년 학생 50명이 1차 체험행사를 가진바 있다. 당시 K-Pop과 K-드라마 등 미디어 속 한국문화를 경험하며 좋은 반응을 보였다. 이에 학교측에서 더 많은 학생을 대상으로 해달라는 요청을 했다.


 따라서 한인회가 이틀에 걸쳐 하루 80명씩 총 160명을 대상으로 행사를 확대하는 것이다. 자원봉사자 모집. 문의: 416-383-0777 / admin@kccatoronto.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