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 설립해 재추진해야

무궁화요양원 인수추진위원회가 14일(수) 토론토한인회관에서 모금액 반환 설명회를 연 가운데 대부분의 참석자들은 건립 추진 등 대안마련을 요구했다.

이에 인수위는 처음 약속한 대로 반환을 원하는 기부자들에게는 전액 돌려주고, 향후 요양원 건립기금으로 예치를 선택한 경우는 건립재단(가칭)으로 이전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올해 세금공제 영수증을 원하는 기부자는 아리랑시니어 데이케어센터로 기부하는 방법도 있다.

인수위에 따르면, 무궁화요양원은 라이선스가 남아있는 향후 20년간 한인들이 계속 입주할 경우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는 입주 대기자들이 많은 상황이다. 따라서 입찰 실패에 대해 낙담만 하지 말고 재단 등을 설립해 온주정부에 침상신청을 적극 나서라는 것이다.

구자선(평화식품 대표)씨는 “한인사회에 새로 범양로원추진위를 만들어 건립하면 된다. 무궁화요양원 60침상도 20년간 사용할 수 있다면 실패가 아니고 더 확보할 기회가 생긴 것이다. 김치, 떡국 먹고 아리랑 부르는 양로원을 가져야 하며 긍정적으로 추진하면 된다”고 말했다.

정창헌(피커링도요타 대표)씨는 “인수위가 지난 2년간 동포사회를 위해 많은 수고를 했는데 불만이 없어야 한다. 이번 입찰실패는 손해가 아니며 궁극적으로 원한 것은 한국말을 하고, 한국 음식을 먹는 곳이다. 앞으로 더 신경 써서 요양원과 은퇴주택을 함께 지었으면 한다”고 말했다.

반면, 익명을 요구한 한 한인은 “인수위가 처음에 반환을 약속했으면 일단 돌려주고, 땅을 사서 새 요양원을 짓는 일은 다시 모금하는 것이 정당하다. 원래 목적이 무궁화 인수였는데 다른 용도로 사용을 유도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다.

무궁화요양원과 같은 시기에 출발한 중국계 이홍센터가 1,200개 침상을 확보할 동안 한인은 60개 침상도 지키지 못했다는 지적도 있었다.

김도헌 위원장은 “지난 2년간 보람도 있었지만 의혹을 받을 때는 허탈감도 느꼈다. 개인을 위해 사용한 돈은 한 푼도 없다. 투명하게 공개하고 믿어달라고 호소한다. 새 재단 설립은 우리가 아니고 새로운 전문가로 구성하는 것이다. 지난 2년간의 경험은 기꺼이 제공하겠다. 모든 것을 깨끗이 정리한 후 공청회를 열어 진행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날 설명회는 30여 명만 참석할 정도로 관심이 높지 않았다. 인수위는 경과설명과 경비내역 발표, 질의응답 등으로 진행했다.

인수위 재정보고에 따르면 7월 31일 현재 은행잔고는 292만269달러(미입금 약정액 58만4,179달 러)다. KEB하나은행에 170만3,830달러(이자수입 3만8,522달러, 법률비용 지출 7,489달러), 신한은행에 110만2,799달러(이자수입 2만6,070달러), TD은행에 11만3,640달러(경비 10만2,273달러 지출)가 예치돼 있다.

반환신청서는 한인종교단체와 식품점 등에 비치하며, 기부자 명의와 반환수표 수취인이 동일해야 한다. 신청서는 우편: 204 -28 Finch Avenue West Toronto ON M2N 2G7 /팩스: 647- 436 -1919 /이메일(스캔): knhfra@gmail.com을 통해 보내면 된다.

광고

트뤼도 총리 깜짝 방문

(10 or 14)트뤼도

저스틴 트뤼도 연방총리가 지난 12일(월) 한인 밀집지역 노스욕을 깜짝 방문해 한인들에게 자유당정부 정책에 적극 협조해준데 대해 감사를 전했다.

이날 트뤼도 총리는 영 스트릿-스틸스 애비뉴에 있는 한식당 ‘안주’에서 한인 단체장 등 40여명과 만나 짧은 대화를 나눴다. 또한 한인들과 일일이 악수를 나누고 기념사진을 찍었으며, “김치 냄새가 좋다” “감사합니다” 등 한국어로 인사했다.

이번 모임은 알리 에사시(자유당, 윌로우데일) 의원이 주도했으며, 총리는 셰볼레 방탄차량을 타고 경호원들을 대동한 채 모습을 드러냈다.

오는 10월 연방총선을 앞두고 자유당 지원유세 성격이 강했으며, 총리가 떠난 후에도 총리실 전략자문수석인 한인 벤진씨가 남아 대화를 나눴다.

한편, 트뤼도 총리는 앞선 기자회견에서 온주 보수당 정부가 지난 4월 삭감한 난민에 대한 법률지원 예산 2,700만 달러를 보조한다고 발표했다.

트뤼도 총리, 직권남용

저스틴 트뤼도 연방총리가 SNC-라발린 스캔들 관련 직권남용을 한 것으로 결론 나면서 총선을 앞두고 최대 변수로 등장했다.

연방윤리위원장은14일(수) “트뤼도 총리가 전 법무장관 죠디 윌슨-레이불드에게 퀘벡 기반 엔지니어링회사 SNC-라발린과 기소유예합의(DPA)에 이르도록 권하려 시도했다. 이는 이해상충법(Conflict of Interest Act)을 어긴 것이다”라고 판정했다.

공직자윤리법은 어떤 고위 정책결정자도 다른 사람의 사적 이익을 위해, 다른 사람의 결정에 영향을 주려고 시도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조사과정에서 트뤼도 총리는 영향력 행사를 부인하면서 “공적 이익을 위해 기업의 잘못에 대한 형사기소의 대안을 상기시키려 했다. SNC 피고용인, 주주, 고객, 공급업자들에게 폭넓은 여파를 미칠 수 있고, 주요기업의 생존을 위협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고 진술했다.

앞서 지난 2월 SNC 의혹이 불거지면서 트뤼도 총리는 정치적 궁지에 몰렸고, 각종 여론 조사에서 보수당에 뒤쳐지다 최근 따라잡는 분위기였다.

SNC는 국내 최대 종합건설사로 리비아 공사 수주를 위해 정부 관리에 뇌물을 제공한 혐의로 검찰 수사를 받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