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도 월세 속속 하락

 토론토 도심지의 생활을 원했으나 비싼 임대료 때문에 망설였던 세입자라면 지금이 적기일 수 있다. 일부 지역의 월세가 1년 전에 비해 16%나 하락했기 때문이다.

 코로나 팬데믹 이전에 월세 3,100~3,500 달러 선이던 영스트릿 인근의 콘도가 현재 2,800달러 선으로 떨어졌다.

부동산컨설팅업체 어바네이션에 따르면 광역토론토(GTA)에서 임대용으로 등록된 콘도가 3분기에 2만3,388 유닛으로 전분기의 2배였다. 평균 월세는 2,249달러로 연간 9.4% 내리면서 2018년 초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특히 토론토대 및 라이어슨대 인근의 East Bloor/The Village 월세는 작년대비 16.8% 급락했고, 다운타운 중심(16%), 엔터테인먼트 디스트릭트(15.9%), 시티플레이스(14.3 %) 순으로 하락했다.

 신축 콘도 공급은 증가하고, 코로나로 세입자들은 빠져나가면서 GTA의 3분기 임대 물량이 전분기에 비해 2배나 늘었다. 또한 임대 아파트 공실률은 2.4 %로 10년 만에 2%를 넘어섰다.

 어바네이션은 “토론토 세입자에게는 적기일 수 있다. 지난 수년간 시내는 선택의 여지가 없었는데, 이제 폭이 넓어졌다”면서 “콘도 렌트 및 임대 아파트는 당분간 줄지 않을 것이다. 올해 2만개의 추가 콘도 유닛이 완공된다. 코로나가 발생하기 전에 신축에 들어갔는데 사람이 빠져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어바네이션은 “재택근무는 많은 사람들에게 직장과 먼 곳에서 넓은 면적과 야외 공간을 즐기며 생활할 기회를 제공했지만, 반면 낮은 월세로 도심에서 렌트하거나 더 넓은 유닛으로 옮기기 적합한 시기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세입자에게는 올 가을이 가장 좋은 기회일 수 있다는 것이다. 많은 유학생들이 여행 제한과 원격 학습으로 가을학기에 돌아오지 않았으나 내년 초에는 다시 경쟁이 심해질 수 있다고 봤다.

 한 부동산중개인은 “최근 토론토는 세입자 주도 시장이다. 집주인이 전문 청소업체 지원 등의 인센티브도 제공한다”고 말했다. 또한 온주정부에서 내년 말까지 월세 인상을 동결한 것도 세입자에게 유리하다.

반면, 올해 도심지 콘도 렌트에 대한 우려도 있다. 팬데믹 동안 열리지 않는 피트니스 등 편의시설에 대한 지불, 다른 세입자가 마스크 착용을 무시할 경우 코로나 위험 초래, 이전만큼 활기차지 않은 생활 등을 이유로 들었다.

광고

한카노인회 새 둥지

 한카노인회(회장 김세영)가 창립 10주년을 맞아 숙원인 사무실을 노스욕(9 Pleasant Ave)에 마련해 이사했다.

 새 사무실은 한인 시니어들이 굴딩(Goulding)커뮤니티센터와 센터포인트몰을 이용하기 편리한 위치다. 사무실 마련은 존 필리언 토론토 시의원과 알리 에사시 연방의원의 도움으로 이루어졌으며, 특히 렌트비와 유틸리티를 건물주(Sorbara Group)가 받지 않아 부담도 덜었다.

 김 회장은 “새로운 다짐과 한마음으로 단결하여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시니어들이 여생을 보다 즐겁고 행복하게 보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연락: 416-640-8342

‘윌로우데일BIA’ 지정

북부한인번영회(회장 채현주)가 추진해온 한인 밀집지역 윌로우데일의 비즈니스발전지역(BIA) 지정이 성사됐다.

 토론토시는 “총 202개 업체가 참여한 투표에서 찬성 147(반대 53, 무효 2)로 윌로우데일을 BIA로 지정했다”고 지난 27일(화) 밝혔다. 한인70여 업소가 투표에 참여해 표결에 영향을 미쳤다.

윌로우데일 BIA는 남북으로 고속도로401~비숍 애비뉴, 동서로 도리스 애비뉴~비크로프트 로드를 경계로 한다.

 BIA란 특정지역의 비즈니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구조로 블루어 한인타운의 코리아타운BIA를 포함해 토론토에 80여개 있다.

번영회는 BIA지정에 따라, 지역 상권에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기는 영스트릿 자전거 도로 건설의 반대 목소리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기준금리 0.25% 유지

 캐나다 중앙은행은 28일(수) 현행 기준금리 0.25%를 유지하면서 코로나로 둔화된 경제가 충분히 회복하려면 오는 2022년까지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중은은 금융정책회의에서 “여름철 반등이 예상보다 강해 하락폭의 약 2/3를 만회했다”며 경제가 올해는 5.7% 뒷걸음질치지만, 내년에는 4.2%, 2022년에는 3.7% 각각 성장을 전망했다.

소비자 물가지수는 2022년까지 중은의 목표치인 2%보다 낮게 유지될 것이라며 올해 0.6%, 내년 1%, 2022년 1.7%로 각각 예상했다.

중은의 이같은 전망은 또다시 전반적인 봉쇄조치가 없을 것, 코로나 백신이나 효과적 치료법이 2022년 중반까지 널리 이용될 것이라는 전제에서 나왔다.

이날 중은은 경제가 정상수준으로 회복되고, 물가가 목표치(2%)로 올라설 때까지 저금리 정책을 지속할 것임을 시사했다.

또한 연방정부의 긴급지원 등으로 지난 3월, 4월에 잃은 300만개의 일자리 중 2/3가 복구됐으나, 경제회복이 고르지 않았음도 지적했다. 레스토랑, 여행 및 숙박업소 같이 큰 타격을 입은 분야가 여전히 어려움에 처해있다는 것이다.

신규주택 판매 급증


 광역토론토(GTA)의 신규주택 판매가 급증세를 이어갔다.

 건축토지개발협회(BILD)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주택(단독, 반단독, 링크 및 타운하우스) 판매는 작년 동기 대비 168% 급증하며 동월기준 17년만의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 8월의 355% 증가보다는 덜 극적이지만, 지난 10년간 평균치를 2배나 넘어선 것이다. 이 기간 신규주택 벤치마크 가격은 12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9.1% 올랐다.

 BILD는 “지난달 판매된 저층주택 2,334채는 믿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수준이다. 코로나 팬데믹에 따른 새로운 라이프스타일과 시장의 지속적인 유동성 등 여러 요인이 작용했다. 수요가 몰리면서 아주 빠르게 매물을 소화했다”고 밝혔다.

 지난 9월 신규 콘도 판매는 2,603?채로 작년 대비 15% 늘어나면서 지난 10년 평균치보다 33 % 증가했다. 신규 콘도의 벤치마크 가격은 102만 달러로 작년 동기보다 20.9% 올랐다.

BILD는 “신규주택 판매 강세가 연말까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을 망설였으나 사실 앞으로 매우 강한 여건들을 시사한다. 저층주택에 대한 시장의 수요가 너무 빨라 주택정책이 따라가기 어려운 실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