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토시의 임대료 하락이 국내 주요도시 중 최고를 기록했다. 코로나 팬데믹 영향으로 대부분 도시의 임대시장이 타격을 받았지만 그 중에도 가장 두드러졌던 것이다.
전반적인 월세 하락에 따라 지난달 광역토론토(GTA) 일부 지역 세입자들은 1년 전보다 600~800달러 적은 임차료를 부담한 것으로 나타났다.
Rentals.ca와 Bullpen Research & Consulting의 2월 전국 임대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전역의 평균 임대료는 1,714달러로 작년 2 월(1,823달러)보다 6% 내려갔다. 특히 토론토의 경우 평균 2000달러(작년 2월 2489달러)로 20% 급락했다. 이중 1 베드룸 임대료는 1,808 달러로 19.4%, 2베드룸은 2,388 달러로 18.1% 각각 떨어졌다.
이 기간 광역토론토(GTA)의 20개 임대시장에서 모든 주택유형의 평균 월세가 작년에 비해 눈에 띄게 하락했다. 가장 큰 폭의 하락을 보인 사우스 리버데일 지역의 경우 2021년 1분기 월세가 2,002달러로 2020년(2,824달러)보다 29% 폭락했다.
토론토시는 콘도와 아파트 평균 임대료의 큰 폭 하락에도 불구하고 전국에서 밴쿠버에 이어 두 번째로 비싼 도시였다. 이 기간 밴쿠버는 2,301달러에서 2,164달러로 6% 하락했다.
전국 월세 순위 3~6위인 미시사가(1,956달러, 9%), 이토비코(1,942, 16%), 노스욕(1,927, 15%), 스카보로(1,805, 7%)는 각각 하락했고, 7위인 해밀턴(1,799달러)은 15% 올랐다.
한편, 업계는 팬데믹 봉쇄의 완화, 근로자들의 직장 복귀, 소비자 신뢰향상, 백신 접종의 증가로 인해 수개월내 임대시장이 반등할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온타리오의 휴가용 부동산 가격이 비현실적으로 급등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토론토에서 차로 2시간 이내의 호숫가 휴양지와 지방 도시에서 발생하고 있다. 복수 오퍼와 매물가를 뛰어넘는 계약이 일반화 되고 있다.
이러한 열기의 배경에는 도심지 거주자들이 자연에서 재택근무를 하고, 이자율은 역대 최저수준이며, 좀더 넓은 공간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여기에 공중보건 위기를 겪으면서도 고용을 유지한 사람들이 집을 한 채 더 구입해 재산을 불릴 수 있는 것을 깨달았기 때문.
한 중개인은 “현재 전원 도시의 집값은 현실과 많이 동떨어져 있다. 몇 년 전에는 60만 또는 70만 달러 수준이면 꽤 비쌌는데, 지금은 중간 수준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9월 한 고객이 토론토 동쪽의 전원 지역 픽턴에서 방갈로를 40만 달러에 구입했는데, 6개월 후 50% 오른 60만 달러에 원치않는 오퍼를 받았다. 뭔가 비정상이라는 느낌이다”고 덧붙였다.
무스코카 지역의 한 로열르페이지 중개인은 “지난 2017년경에 시작된 추세를 코로나가 가속화했다. 당시부터 50대의 은퇴를 준비하는 사람들이 무스코카에서 집을 사고 재택근무를 시작했다. 올해 1월과 2월에 80채를 중개했는데 이중 51채는 매물가보다 비싸게 팔렸다”고 설명했다.
부동산회사 로열르페이지는 온타리오와 대서양 지역의 휴가용 부동산 가격이 올해 17% 더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다.
필 소퍼 CEO는 “작년만큼 시장이 뜨겁고, 매물은 부족해 올해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며 “무스코카와 그레븐허스트의 호숫가 부동산은 2019년과 2020년 사이에 28% 뛰었다. 평균 76만5,000 달러에서 97만9,000 달러로 1년 만에 거의 25만 달러 올랐다. 할리버튼 해안가 주택은 27.3%, 카와싸는 26 % 각각 상승했다”고 밝혔다.
소퍼는 “무스코카의 ‘3대 호수’ 중 하나인 Muskoka, Joseph, Rosseau 의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 200만 달러가 기본이다. 대부분 300만에서 500만 달러에 팔린다“고 덧붙였다.
레이크랜드부동산협회 척 머니 회장은 “이곳 매물이 30년내 가장 적은 수준이다. Muskoka, Parry Sound, Haliburton 및 Orillia를 포함하는 내륙지역의 주택거래는 1년간 13% 증가했다. 그러나 호숫가에서는 지난 1월과 2월에만 180개 매매로 전년 대비 96% 급증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전히 휴가용 부동산을 찾는 것은 가능하지만 가치와 필요, 욕구에 대한 기대치에 변화가 있다. 호숫가 주택은 내륙에 있는 것보다 2배 이상 비싸게 거래된다”고 설명했다.
머니 회장은 “이곳을 구입하는 사람들의 절반은 광역토론토 출신이다. 매물이 부족한 이유에는 이미 카티지를 소유한 사람들이 내놓지 않고 더 좋은 곳으로 옮겨가거나, 도로에 인접해 있는 경우 리노베이션을 통해 사계절 머물 수 있는 곳으로 개조하기 때문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소퍼는 “휴가용 부동산 시장이 비정상적이다.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사이클에 있는 단기적인 현상이다. 열기가 식은 후에는 수년간 가격이 안정될 것이다”라고 주장했다.
코로나로 봉쇄된 지난해 봄 이후 토론토 다운타운의 콘도 가격은 하락했지만 상대적으로 인기가 없던 낙후지역에선 상승해 주목된다.
Strata.ca에 따르면 토로토의 낙후지역 3곳의 콘도 가격이 팬데믹 기간 동안 평방피트 당 최고의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달 다운타운 콘도 가격은 작년 동기에 비해 약 6% 하락했지만, 일반의 관심에서 벗어나 있던 맬번(Malvern)과 제인-핀치는 각각 14%, 11% 올랐다. 또한 험버컬리지 인근의 렉스데일 지역 콘도가격은 작년 10월 중순에 하락했지만 올해 초에 5.1% 반등했다.
이와 관련 Strata는 “이러한 낙후 지역에 있는 오래된 콘도들은 대부분 투자 목적보다 최종 거주자를 끌어 들인다. 단기간의 시세차익을 노린 손바꿈은 별로 없는 편이다”라고 밝혔다.
낙후 지역의 상승세가 지속 가능할지 여부는 알 수 없으나 만일 콘도 가치가 계속 상승할 경우 젠트리피케이션(Gentrification)의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이는 도심 인근의 낙후지역이 활성화되면서 외부인과 돈이 유입되고, 임대료 상승 등으로 원주민이 밀려나는 현상을 일컫는다.
라이어슨대 부동산학 관계자는 “이들 지역의 소유주에게는 반가운 소식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거주자들에게는 걱정거리가 될 수 있다. 집값이 오르면 월세도 따라서 뛰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러한 경향이 팬데믹 기간에 일어난 일시적인 현상이지 판단하기 이르지만 토론토의 만연한 주거지 가격 문제를 반영하고 있다. 신규 이주자들의 발판이 되어야 할 동네에서 주거지 가격이 비싸지면 더 많은 공공주택을 공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외곽 콘도의 호조에 대해 단기적인 팬데믹 효과로 보고 있다.
Strata에 따르면 토론토 도심지의 콘도 가격이 이미 상승을 시작했다. 지난해 10월 평방피트당 평균 950 달러의 바닥을 찍은 후 지난주에는 1,061달러까지 올랐다. 아직 코로나 이전의 최고가인 평방피트당 1,165달러에는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16일(화) 열린 무궁화요양원 인수추진 설명회(온라인)에서 김도헌 위원장이 설명을 하고 있다.
무궁화요양원 인수추진에 관한 설명회가 16일(화) 온라인으로 진행(50여명 참여)된 가운데 이날부터 공식 모금운동에 돌입했다.
경비를 포함한 총 인수금액은 약 800만 달러며, 이중 350만 달러는 모기지를 얻어 충당하고, 나머지 450만 달러를 한인사회에서 모금해야 한다.
이미 계약금 102만5,000달러는 기존 보유액과 동포사회 원로들이 부담했고, 16일 현재 84만 달러가 약정돼 총 186만5,000달러를 달성했다. 따라서 추가로 260여만 달러를 오는 5월말까지 모금하면 된다.
이날 인수추진위원회(이하 인수위)는 김도헌 위원장의 무궁화요양원 인수진행 현황 설명에 이어 대략적인 리카케어센터와의 양도양수 합의 내용을 밝혔다. 리카와의 계약 내용은 인수가 완료될 때가지 비밀유지의 원칙이 있어서 공개할 수 없다.
일각에서 만일 리카가 여론악화를 의식해 무궁화 인수를 포기하면 더 낮은 금액으로 재입찰 할 수 있지 않느냐는 주장이 있다. 이에 대해 김 위원장은 “확실한 인수가 담보돼야 했다. 업계에 따르면 요양원 60침상 마련에 약 1,800만 달러(침상 한개당 30만 달러)를 추산한다. 리카와의 계약이 훨씬 유리한 것으로 판단했다”고 말했다.
인수 주체가 될 아리랑시니어센터 김명숙 이사장은 “한인사회 염원의 첫 단계를 이룬 것이다. 이 과정까지 수많은 미팅과 협상이 있었고 성공적으로 인수돼야 한다. 지금은 60침상(무궁화)이지만 앞으로 수백개 침상으로 늘려 한인들이 노후를 안락하게 보낼 수 있어야 한다. 모금은 작은 금액이라도 많은 한인들이 참여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앞으로의 인수 과정은 ▶법정관리인(회계법인 딜로이트)과의 협상 및 매매 동의 ▶온주 법원의 매매 승인 ▶매입자금 준비(한인사회 모금 및 모기지 확보) ▶온타리오 정부의 요양원 라이선스 이전(6~8개월 예상) 등으로 진행된다.
– 무궁화요양원(60침상)은 당시 평생 임대형 90 유닛과 함께 12층 건물로 건설됐다. 임대형 유닛이 충분히 분양되지 않아 건설한 소유권자가 자금부족으로 법정관리 당한 것이다. 이번에는 임대형 유닛이 소유형 콘도로 전환돼 요양원과는 별개로 매각된다. 따라서 아리랑센터는 건물의 1, 4, 5, 6층만을 인수하며 충분한 현금흐름을 갖게 될 것이다.
▲아리랑센터는요양원을운영할팀이나경험을갖고있나?
– 무궁화요양원은 2011년 이래로 딜로이트가 선정한 요양원운영 전문회사 어슈어드케어(Assured Care Consulting, 웹사이트: www.AssuredCareConsulting.com)에 의해 운영되고 있다. 이 회사는 한인 직원들과 함께 10년간 잘 운영해 오고 있으며, 특히 직원과 입주 노인들에게 코로나 환자가 전혀 없었다. 아리랑센터는 인수 후에도 어슈어드를 요양원 운영회사로 계속 유지하고 감독하는 역할만 맡을 계획이다.
▲기부금에대한세금공제영수증은언제받을수있나?
– 2021년에 기부하면 올 가을에 이메일이나 우편으로 세금공제 영수증을 우송한다. 이후에 들어오는 기부는 내년 2월까지 가능하다. 온라인으로 기부하면 즉시 영수증이 발행된다.
▲기부금은어디에적립되나?
– 아리랑센터(AAFCC)에의 기부금은 방법(수표, 온라인, 은행 등)에 따라 KEB하나, 신한, TD은행 중 한 곳에 예치되고, 무궁화 인수를 위한 구입비, 취득세, 변호사비, 모금 경비 등으로 사용된다.
▲어떤방법으로기부할수있나?
– 세가지 방법 중 하나로 할 수 있다.
▷수표는 Payable to: AAFCC(Arirang Age-Friendly Community Centre), 보낼 주소: 1133 Leslie St. #214, Toronto, ON. M3C 2J6
온타리오한국학교협회(회장 신옥연)는 캐나다 한인 차세대들에게 모국어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줘 글로벌시대 인재로 육성하기 위해 ‘우리말 글짓기대회’를 개최한다.
참가를 원하는 학생은 오는 4월 17일(토)까지 ▶유치반(SK): 동식물 보호 및 사랑하기에 대한 그림일기(jpg, pdf, png 파일) ▶G1-G6: 지구 환경, 기후, 온난화 등 생태계 변화에 대한 내용 ▶G7-G12: 코로나 시대 변화된 삶, 평화통일, 차별과 전쟁이 없는 미래의 평화적 삶을 주제로 한 워드 파일(12 point, A4용지 3 페이지 이내)을 이메일(info@koreanschools.org)로 보내면 된다. 자세한 내용은 협회 웹사이트(www.koreanschools.org) 참조.
협회는 “코로나 사태로 자칫 우리 말과 글에 대한 관심이 소홀해질 수 있는 여건이다. 글짓기 대회를 통해 지속적으로 흥미를 갖게 하고, 학생들이 그 동안 배운 실력을 발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밝혔다.
행사는 주토론토총영사관 캐나다한국교육원, 캐나다한인장학재단이 후원한다.
심사를 거쳐 장원, 부장원, 부문별 1~3등, 장려, 격려상 등에 소정의 장학금(총4,000달러)을 지급한다. 참가비 15달러(e-transfer)가 있다. 문의: info@koreanschools.org
애국지사기념사업회(회장 김대억.사진)는 일제와 투쟁했던 애국지사들의 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2021보훈 문예작품을 공모한다.
본보가 후원하는 이 행사의 응모분야는 시, 시조, 추모헌시, 수필, 보훈 수기 등이며, 레터용지 2~3장 정도로 작성해 오는 7월 25일까지 이메일(dekim19@hotmail.com) 또는 우편(CAHKP, 1004-80 Antibes Dr. Toronto, ON. M2R 3N5)으로 보내면 된다.
주제는 ▶일제강점기 조국 광복을 위해 헌신한 애국지사들의 정신과 국가의 소중함 ▶그들의 희생에 대한 감사와 존경 ▶알려지지 않은 애국지사들의 활동과 후손 ▶‘애국지사 이야기’ 독후감 등이다.
일반부 장원(1000달러), 학생부 장원(500달러), 차상 등 기타 입상작(100~500달러)을 시상한다.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유학생, 지상사 직원 등 포함) 누구나 참여 가능. 기 공모전 입상자도 응모(장원 제외) 할 수 있다. 문의: 416-661-6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