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과열 지속

 광역토론토 주택시장이 코로나 백신 접종에 따른 경제 낙관과 저금리의 영향으로 계속 과열되고 있다.

 토론토부동산위원회(TRREB)에 따르면 지난 3월 GTA 주택 평균가격은 110만 달러로 지난해 동기대비 21.6% 상승했다. 거래 가격의 최고 및 최저를 제외해 좀더 정확한 시장상황을 반영하는 벤치마크 주택가격지수(HPI)는 16.5% 올랐다.

 이 기간 GTA에서 단독, 반단독, 타운하우스, 콘도를 포함한 모든 유형의 주택 구입자들이 1년 전보다 평균 19만5,000달러, 집값이 100만 달러를 처음으로 넘어섰던 전달보다 5만 달러 더 많이 부담했다.

 특히 905지역 단독주택 가격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여 지난달 평균 132만 달러로 연간 31.4% 급등했다. 토론토시(416)는 175 만 달러로 19.2% 올랐다.

 TRREB은 “GTA 주택가격은 작년 6월 이후 계속 두 자릿수의 상승률을 보여왔다. 복수 오퍼 전쟁이 완화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다. 공급 증가만이 이를 해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기간 신규 매물은 2만2,709채로 57.3%나 늘었지만 여전히 거래 증가율(97%)에 뒤처져 있다.

 지난달 거래는 1만5,652채로 작년 같은 기간(7,945채)의 거의 두 배에 달했다. 그러나 2020년 3월에는 코로나 팬데믹으로 비상사태가 선포돼 단순 비교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좀더 세분해 보면 3월 첫 2주간 거래는 작년 동기보다 41% 증가, 이후 2주간에 전년도의 부진으로 174% 급증했다.

 TRREB에 따르면 작년에 대부분의 주택 구매자들이 예산을 늘려 잡고, 복수 오퍼들 사이에서 성공하기 위해 인스펙션 조건 등을 없애는 무리수를 마다하지 않았다.

 앞으로 이민자들이 다시 늘어나게 되면 이러한 상황이 더욱 악화될 것이라며 정책당국에 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TRREB은 “정부에서 만지작거리는 주거주지에 대한 양도소득세 부과와 같은 정책은 단기효과일 뿐, 오히려 매물을 억제해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TRREB은 “정책 입안자들이 현재와 미래의 수요를 감안해 주택 공급을 늘리는 장기적인 목표에 집중해야 한다. 오래 전부터 이를 강조해 왔는데 귀를 기울여야 한다”고 언급했다.

 한편, 2020년 봄과 가을 사이에 둔화됐던 콘도 시장은 거래가 전년 대비 91.3%(416: 88%, 905: 99%) 증가하면서 반등했다. 콘도 평균가격도 67만6052달러로 2.6%(416: -0.7%, 905: 13.5%) 소폭 올랐다.

광고

법정관리사, 양수 동의

 한인사회가 무궁화요양원 인수에 한발짝 더 다가섰다. 법정관리사인 딜로이트(Deloitte Restructuring)가 요양원에 대한 매입 권한을 아리랑시니어센터(AAFCC)가 리카(RYKKA Care Centres LP)로부터 양수하는 것에 지난 1일 동의했기 때문이다.

 이에 한인 인수주최인 아리랑센터는 무궁화 매입자로서의 지위를 갖게 됐으며, 양도에 관련한 절차는 사실상 마무리된 것이다.

 앞으로는 온타리오주 장기요양부로부터 요양원 시설 운영 면허를 이전 받기 위해 매입자금 준비(한인사회 모금 및 모기지 확보)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무궁화는 2011년 이래로 딜로이트가 선정한 요양원운영 전문회사 어슈어드케어(Assured Care Consulting)에 의해 한인 직원들과 함께 운영되고 있다.

 한편, 무궁화 모금운동에 한인들의 정성이 속속 답지하고 있다. 5일 현재 총247만2,621달러가 모금돼 목표액인 450만 달러까지 약 203만 달러를 남겨놓고 있다. 

 기부방법은 다음과 같다.

▷수표 Payable to: AAFCC(Arirang Age-Friendly Community Centre), 보낼 주소: 1133 Leslie St. #214, Toronto, ON. M3C 2J6

▷온라인: SupportRos.ca

▷은행: 광역토론토에 있는 KEB하나 또는 신한 은행에서 입금

▷이메일 송금: Give-to-RoS@aafcc.ca (e-Transfer 등록시 메시지란에 영어 이름, 주소, 전화번호 기입해야 세금영수증 가능)

문의: contact-us@aafcc.ca / 김명숙(416-937-6410), 강대하(416-817-5253)

                                                                                     

노스욕 월세 14.6%↓

 한인 밀집지역인 노스욕의 지난 2월 평균 월세가 1,927달러로 작년 동기대비 14.6% 떨어졌다. 지난해 2월(2,555달러)에는 10.4% 올랐던 것에 비해 대조적인 현상이다. 

 광역토론토(GTA)의 콘도 및 임대 아파트 월세는 코로나 팬데믹이 주거 선호를 바꾸면서 15개월 연속 하락세다. 그러나 최근엔 일부 변화의 조짐도 감지되고 있다.

 최근 Bullpen Research & Consulting과 TorontoRentals.com의 GTA임대시장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월 모든 유형의 평균 임대비는 1,986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6.3% 내려갔다.

 이 기간 구 토론토시의 콘도 및 아파트 평균 월세는 2,000 달러로 작년에 비해 19.7%, 이토비코는 1,942달러로 15.5% 각각 하락했다. 이스트욕이 1,774달러로 구토론토 지역에서 가장 낮은 6.1% 하락률을 보였으나 작년 2월에는 홀로 5.3% 하락한 바 있다.

 한편, 이 기간 GTA 콘도의 평균 월세가 18% 급락한 반면, 임대아파트는 11%, 단독주택 렌트는 8% 각각 하락에 그쳤다.

 Bullpen Research는 “봄철 임대시장의 성수기가 다가오고 있는데 이 기간은 가장 강력한 수요를 보여왔다. 따라서 시장의 탄력성을 테스트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GTA의 지난 2월 평방피트당 임대료는 2.74달러로 비록 작년 (3.04달러)보다는 10% 하락했지만 전월 대비로는 제자리를 지켰다. 특히 다운타운 콘도의 평방피트당 임대료가 전월 수준을 이어갔으며, 단독주택과 임대아파트의 월세는 소폭 상승해 향후 시장의 방향에 대해 관심을 끈다.

 이와 관련 업계는 “온주에서 백신 접종을 계속 늘리면 세입자는 다운타운에서의 생활에 대한 자신감을 갖기 시작할 것이다. 동시에 기존주택 매매시장의 과열은 일부 잠재적 구매자를 계속 임대시장에 머물게 유도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무역수지 두달 연속 흑자

 캐나다 무역수지가 5년만에 처음 2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했다.
 
 연방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2월 무역수지는 10억4,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이 기간 세계적인 반도체의 부족으로 수입과 수출에 모두 타격을 입어 전달보다 흑자폭이 줄었지만 2016년말 이후 처음으로 연속 흑자를 달성한 것이다.

 지난 1월의 수정된 무역수지는 12억1,000만 달러 흑자였다.  

 이 기간 수출이 2.7 % 감소했으며, 가장 큰 이유는 반도체 부족으로 인한 생산차질로 자동차 및 관련 부품 수출이 10.2% 급감했기 때문이다. 

 반면, 에너지 수출은 18.3 % 증가하여 2019년 12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미국 텍사스의 대규모 정전과 극심한 날씨로 인한 에너지 가격 상승에 힘입었다.

 국제통화기금(IMF)에 따르면 캐나다 경제는 코로나 바이러스 팬데믹으로 2020년에 5.4 % 하락했지만, 올해는 4.4%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난 2월 수입은 2.4 % 감소했으며, 이 또한 반도체와 관련한 자동차 및 부품 수입이 7.8% 감소한 것이 주원인이다.

 한편, 캐피탈 이코노믹스의 수석 경제학자 스티븐 브라운은 “미국 경제가 빠르게 회복하고 있어 캐나다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웃나라 미국은 캐나다의 최대 무역 파트너다”라고 언급했다.

 이 기간 캐나다의 대미 무역흑자는 68억 달러까지 늘어나면서 2008년 9월 이후 13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주택시장 과열 경고

 주택시장 과열을 전문가들이 잇달아 경고하고 나섰다. 지난 1980년대 후반 이후로 이렇게 거품이 형성된 적이 없다는 지적이다.

 토론토 로젠버그연구소의 데이비드 로젠버그는 “토론토 주택시장의 과열이 과거 미국의 서브프라임 재앙 때를 연상시킨다. 거의 모든 측정치에서 당시 미국 시장과 비슷해 정책당국은 심각한 우려를 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로젠버그는 지난 2006년 세계최대 투자은행 메릴린치의 수석 이코노미스트로 미국의 서브프라임과 같은 사태를 경고한 바 있다.

 그는 “현재 우리는 매우 불안정한 위치에 있다. 주택의 렌트대비 가격 비율, 소득대비 집값 비율, 가구의 부동산 의존도 등과 같은 많은 지표들이 심각한 거품 수준을 보인다”고 밝혔다.

 이러한 경고의 배경에는 팬데믹 기간 동안 역대 최저 모기지 이자율과 주택수요 증가에 따른 집값 급등이 자리하고 있다. GTA의 주택 평균가격은 지난 3월 1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1.6% 급등했다. 특히 이 기간 외곽지역 단독주택의 거래가 크게 늘었다.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CMHC)와 토론토부동산위원회(TRREB)는 주택시장 붕괴와 경제에 미칠 위험이 거의 없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로젠버그는 “주택가격이 하락하면 경제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다. 이자율이 상승하면 초저금리를 이용하기 위해 팬데믹 기간에 집을 구입한 사람들이 예상보다 많은 모기지 지불부담으로 지옥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로젠버그는 “2006년 당시 미국 연방준비은행 벤 버냉키 의장이 ‘걱정하지 마라. 집값은 절대 내려가지 않는다’라고 말한 것이 생각난다. 내가 거품이 있고 터질 것이라고 경고했을 때 사람들은 믿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2008년에 미국에서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터졌다.

 한편, 많은 경제학자들이 과거 서브프라임 모기지 위기와는 다르다고 주장하나 주택 거품붕괴로 경제가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경고는 속속 나오고 있다.

 최근 RBC은행의 로버트 호그 수석 경제학자는 “시장이 통제 불능상태라 정책 입안자들이 개입해야 한다. 과열된 시장이 조정 받으면 국내 경제를 불안정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 이는 정부에 막대한 비용을 발생시킬 것이다. 1980년대 후반 이후로 이러한 정도의 과열을 보인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현재 연방정부는 특별한 조치를 내놓지 않고 있다. 오는 19일 예산안 의회 상정을 앞둔 재무부는 “주택시장의 견실과 안정을 지속적으로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만 밝혔다.

 시장조사회사 노스코브어드바이저(NCA)의 라비두스는 “해결책은 공급 측면에서 찾아야 한다. 콘도 공급은 기록적이고 임대도 50년만에 최고 수준이지만 단독주택 신축은 20년 만에 최저라 공급이 가장 제한적이다”고 지적했다.

 또한 “비즈니스 자금을 주택 투기로 전환하는 위험성을 보고 있다. 예전에는 부자가 되려면 창업을 했는데, 이제 할 수 있는 한 많은 돈을 빌려 집을 사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토론토 Realosophy 부동산회사는 “중앙은행이 경제회복 지원을 위해 저금리 정책으로 주택수요를 부추겼다. 이는 잘못이 아니지만 향후 3년간 금리를 낮게 유지할 것이라고 덧붙인 것은 최선이 아니었다. 주택투자로 횡재하는 것을 어렵게 해야 한다. 단독주택이 주거가 아닌 투자수단으로 전락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1월 경제성장률 0.7%

올해 1월 캐나다 경제가 0.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연방통계청에 따르면 이 기간 국내총생산(GDP)이 코로나19 팬데믹 발생 전인 작년 2월보다 약 3% 낮지만, 이후 5월부터 활기를 찾아 9개월째 증가세를 이었다.

지난 1월 20개 평가 산업부문 가운데 상품생산(1.5%)과 서비스(0.4%)에서 상승세가 감지됐으며, 특히 제조업, 건설 및 부동산업이 크게 기여했다.

올해 경제성장률에 대해 민간 싱크탱크인 컨퍼런스보드(CBC)는 5.8%, TD은행은 6%를 각각 전망했다. 로열은행(RBC)은 6.3% 성장을 내다보고 “백신 접종이 늦어도 9월 말까지 완료돼 코로나 사태가 끝나는 상황을 가정한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CBC는 “지난해 국내 총생산이 5.4% 감소했기 때문에 올해 6% 상승해도 사실상 1년 전으로 되돌아가는 셈이다. 코로나에 따른 연방과 주정부들의 각종 지원이 GDP의 15%를 차지했다. 빚을 얻어 이룬 것이라 과도한 정부 부채가 경제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연방정부는 오는 19일 새 예산안을 상정하며 적자 규모가 4,0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추산된다.

 CBC는 “지금은 코로나 사태로 누구나 빚 이야기를 꺼리지만 결국은 납세자들이 갚아야 할 부채다”라고 지적했다.

사무실 공실률 연속 상승

 캐나다의 도심지 사무실 공실률이 4분기 연속 상승하며 올해 1분기에 14.3 %를 기록했다. 특히 최근 수개월 동안 토론토, 밴쿠버 및 몬트리올에서 빈 사무실이 크게 늘어났다. 

 상업용부동산 전문회사인 CBRE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으로 재택근무를 하기 직전인 2020년 1분기의 공실률은 9.3% 였다. 1년 사이에 무려 5%포인트 상승한 것이다. 

 토론토 다운타운의 사무실 공실률은 올해 1분기 9.1%로 작년 동기의 2%에서 7.1%P 급등했다. 이 기간 몬트리올은 10.6%(작년 9.1%), 밴쿠버는 6.2%(2.2%)로 크게 상승했다. 

 한편, 에드먼턴과 핼리팩스의 도심 사무실 공실률은 올해 1분기에 약 19%로 작년과 거의 같은 수준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