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궁화 모금 초과 달성

 무궁화한인요양원 인수를 위한 동포사회 모금이 초과 달성됐다.

 이에 인수추진위는 “동포들의 위기에 강하고 뭉치는 저력을 유감없이 보여줬다” “역사적 전환점이자 자부심이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한인사회에 감사와 함께 “침상 확대의 장기비전을 공유할 것”이라고 밝혔다.

 25일 현재 모금은 473만5,277달러로 마감일(31일) 전에 목표액(450만 달러)을 약24만 달러 넘어섰다.

 인수위는 “우리 어르신들을 돌보고자 하는 공동의 목적에 동포사회의 능력을 다시 한번 보여줬다. 기부액과 참가자 수에 있어 모두 기록을 세웠다”고 전했다.

 무궁화의 인수주최가 될 아리랑시니어센터(AAFCC) 김명숙 이사장은 “무궁화를 반드시 확보하라는 기부자들의 요청에 책임을 다하고, 요양원 침상을 확대해 나가는 장기비전을 공유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김도헌 인수위 공동의장은 “이번 모금운동을 통해 동포들께서 위기에 강하고 필요에 뭉치는 한국인의 저력을 유감없이 보여줬다. 이는 동포사회의 역사적인 전환점이자 자부심으로 기록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인수위는 동포사회가 보여준 수준 높은 기부문화를 바탕으로 어르신 돌봄을 위한 기부재단을 설립하여 기금조성과 실행단체(아리랑시니어센터)를 분리, 두 축으로 전환한다. 또한 동포들의 의견을 수렴해 중단기적인 계획을 만들어간다.

 모금 목표액은 달성했으나 요양원 침상 수를 더 확보하는 장기전망을 갖고 모금운동을 이어갈 방침이다. 

 인수위는 오는 6월말 설명회를 개최해 재정현황과 인수절차를 밝히고, 현재의 무궁화 60침상을 넘어 추가 확보를 위한 아이디어도 제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번 모금은 코로나 사태로 한인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었음에도 두 달여 만에 이룬 값진 성과다.

 지난 2017년 모금에서 반환되지 않은 신중화(50만 달러)씨 등의 82만 달러와 조준상·한상훈·정창헌씨 등의 기부로 계약금 100만 달러를 지불했다.

 또한 옥스포드플라자 투자모임(대표 유건인)과 갤러리아슈퍼마켓이 10만 달러, 가구도매업을 하는 한인사업가 최등용씨가 100만 달러를 선뜻 내놓아 큰 힘으로 작용했다.

 한편, 인수위는 기부자들에게는 조만간 세금공제용 영수증을 발행할 예정이다. 

광고

통일 골든벨 장원 김수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토론토협의회(회장 김연수)와 온타리오한국학교협회(회장 신옥연)가 공동주최한 ‘2021청소년 평화통일 골든벨 퀴즈대회’에서 김수민 양이 장원(상금 500달러)을 차지했다.

 이번 행사는 지난 22일(토) 온라인으로 개최됐다.

 같은 시기에 진행된 평화통일 그림 공모전에선 서동주 양이 최우수상(상금 500달러)의 영예를 안았다.

 심사를 맡은 미술교육자 정의정 위원장은 “올해 공모전에는 창의성이 돋보인 작품들이 많았다. 특히 최우수작은 조감도법으로 남북한 통일과 평화라는 주제를 새로운 각도에서 볼 수 있도록 해 좋은 점수를 받았다”고 밝혔다.

 이번 대회에는 60여명의 학생들이 참여했으며, 캐나다한국교육원(원장 이종원)이 후원했다.

글짓기 대회 장원 이종성

 2021년도 우리말 글짓기대회에서 이종성(6학년.사진)군이 ‘지구의 비명’이라는 주제로 영예의 장원을 차지했다.

 이 대회는 온타리오한국학교협회(회장 신옥연)가 한인 차세대들에게 모국어에 대한 자신감을 심어줘 글로벌시대 인재로 육성하기 위해 실시했다.  

 총 85작품이 출품된 가운데 이군은 현재 지구상에서 발생하고 있는 각종 자연재해를 언급한 후 인간이 만들어낸 환경문제로 신음하는 지구가 우리에게 전하는 경고라며, 미래 후손들도 행복하게 아름다운 지구 안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모두의 집인 지구를 꼭 지키자는 내용을 수준높게 작성해 최고 점수를 받았다. 

 이 군은 캐나다에서 출생했고, 한맘한글학교에 4년째 다니고 있다.

 심사는 본보 김효태 부장과 캐나다한국일보 유지훈 편집국장이 맡았으며, 주제표현(30점), 창의성(30), 완성도(30), 홍보효과(10) 등 총 100점 만점으로 평가했다,

 시상식은 오는 6월5일(토) 오후 3시~4시30분 온라인으로 진행한다. 장원(500달러), 반별 1~3등, 장려, 격려상 등에 총4,130달러의 장학금을 지급한다.

 유치반(SK)의 경우 동식물 보호 및 사랑하기에 대한 그림일기, G1-G6는 지구환경, 기후, 온난화 등 생태계 변화, G7-G12는 코로나 시대 변화된 삶, 평화통일, 차별과 전쟁 없는 미래의 평화적 삶으로 구분해 실시됐다.

 행사는 주토론토총영사관 캐나다한국교육원, 캐나다한인장학재단이 후원했다.

토론토 집값 너무 올라…

 광역토론토(GTA)의 지난달 신규 콘도 분양 및 판매가 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건축토지개발협회(BILD)에 따르면 지난 4월 새 콘도 아파트(적층 타운하우스 포함) 3,619 유닛이 판매돼 동월기준 2000년 이후 최고치였으며, 10년 평균치보다 69% 많았다.

 이 기간 새 분양 콘도가 크게 늘어난 데다 일반주택 가격이 급등하면서 대안으로 고려됐기 때문이다.

 작년 대비 판매로는 612%나 폭증했지만, 2020년 4월의 경우 코로나 팬데믹에 따라 봉쇄 조치돼 유효한 비교가 되지 못한다.

 BILD는 “시장에 새 물량(분양콘도 2/3 차지)이 많이 나와 공급이 늘면서 수요가 촉발됐다. 또한 콘도 가격이 첫 내집 마련자에게 상대적으로 매력이었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지난해 신축 및 기존 콘도 시장의 침체에도 불구하고 이번 4월의 활기는 GTA의 장기적인 성장을 내다보게 한다. 모든 유형의 주택 거래가 강세를 유지할 것이다”라고 예상했다.

 이 기간 신규 콘도의 벤치마크 가격은 106만 달러로 작년 4월의 98만4,369달러보다 7.5% 상승했다. 이는 최대 및 최소치가 평균을 왜곡시키는 것을 배제해 좀더 정확한 수치다. 

 지난 4월의 단독, 링크, 반단독 및 타운하우스(적층 제외)등 새 일반주택 벤치마크 가격은 140만 달러로 전달보다 하락했으나 작년 동기(120만 달러)에 비해 25% 올랐다.

 이 기간 일반주택 판매는 1,020채로 월간 40%, 10년 평균치보다 26% 각각 감소했다.

 한편, 최근 금융감독원에서 주택시장의 과열을 막기 위해 발표한 모기지 스트레스 테스트 강화에 대해 BILD는 “구매력에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없다. 2051년까지 GTA에서 440만 명을 위한 집이 필요하다. 공급부족의 문제라 해결책도 공급을 늘리는 데서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월세 반등 시간 걸릴듯

 광역토론토(GTA) 임대료가 올해 안정세로 돌아섰으나 본격적인 반등까지는 여전히 상당한 기간이 걸릴 조짐이다.

 GTA 월세는 지난해 코로나 팬데믹 여파로 일부 지역에서 연간 30% 가까이 급락했고, 올해 반등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봉쇄조치가 풀리지 않으면서 제자리에 맴돌고 있다.

 25일(화) Bullpen Research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 4월 GTA의 평균 월세는 1,977달러로 전달(1,973달러)보다 0.2% 오르는데 그쳤다. 게다가 중앙값은 두 달간 1,850달러로 동일했다. 다시 말해 아직은 반등으로 볼만한 의미있는 수치가 나타나지 않았다.

 오히려 작년 4월의 평균 2,276달러(중앙값 2,199)보다는 24%, 지난 1월의 1,994달러(1,875달러)에서 1% 각각 하락하며, 추세곡선이 고개를 들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GTA의 일부 지역은 ?작년대비는 물론 월별로도 임대료 하락을 기록했다.

 지난 4월 콘도 및 아파트 평균 임대료는 한인 밀집지역인 노스욕에서 전달보다 0.7% 떨어졌고, 미시사가 1.4%, 리치몬드힐 5.7%, 스토빌 5.4%, 오샤와 3.1%가 각각 하락했다. 

 반면 토론토시(구 토론토)의 경우는 소폭인 0.9%, 반지역은 9.9%, 피커링 8.3%, 옥빌 4.9%, 오로라 4.1% 각각 상승했다.

 즉, 월간 평균 임대료의 전반적인 하락세는 둔화됐지만 모든 지역 및 주택 유형별로 균일하지는 않다.

 특히 올해 첫 4개월간 지역별 월세를 작년 동기와 비교하면 계속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는 곳이 많다. 일부에서는 거의 40% 급락해 수백 달러의 월세 절감을 보인 곳도 있다.

 이 기간 GTA에서 월세가 가장 비쌌던 Rosedale-Moore Park 지역이 평균 2,308달러로 작년 첫 4개월보다 14% 하락했다. 같은 기간 임대료가 가장 저렴했던 South Parkdale은 1,669달러로 20% 떨어졌다.

 가장 월세 하락폭이 컸던 지역은 Yonge-St. Clair 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평균 39% 내려갔고, 최저 하락폭은 High Park North로 3% 소폭 하락했다.

 월세가 큰폭 내려간 곳으로 Palmerston-Little Italy와 Forest Hill North는 각 31%, Greenwood-Coxwell, Casa Loma, Cabbagetown-South St. James Town은 각각 29%, The Beaches 28%, East End-Danforth 27%, Trinity-Bellwoods 25% 각각 떨어졌다.

 Bullpen Research는 “임대료가 오는 가을까지 완만하다가 이후 빠르게 상승할 수 있다. 모기지 스트레스테스트 강화와 높이 상승한 집값 부담으로 많은 세입자들이 계속 임차를 하게 돼 연말에 강세를 예상한다”고 밝혔다. 

영주권 취득 한인 증가

 코로나 사태로 큰 폭으로 감소했던 새 영주권자가 1분기에 작년 같은 기간보다 소폭 증가했다.

 연방 이민부에 따르면 올해 1~3월 총 7만500명이 새 영주권을 취득, 작년 동기보다 1,365명 늘어났다.

 이 기간 한인 새 영주권자는 1,380명으로 작년 1분기(1,145명)에 비해 235명 증가했다.

 북한 국적자 5명도 새 영주권을 취득했다.

 같은 기간 가장 많은 영주권 취득은 인도계로 1만8,450명, 2위는 중국계 6,285명이었다. 순위에서 한인은 11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