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한인과학장학재단(이사장 김성환)과 캐나다한인과학기술자협회(AKCSE)가 젊은 과학기술 인재양성을 위해 2023년도 장학생을 선발한다.
SK그룹 장학금(3000달러), 고려의료재단(3000달러), (재)목암과학장학재단(2000달러), CS Wind(2000달러), KOGAS Canada(2000달러), KEB Hana Bank Canada(1000달러), 민동연(1000달러), KONA(2000달러), KCSSF(1000달러, 2-3명) 등이다.
지원자격은 캐나다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KCSSF 장학금은 유학생도 가능)로 대학의 과학, 기술, 의학 분야 학부 3년 이상 또는 대학원생이다.
신청 방법은 오는 6월 4일(일)까지 지원서, 이력서, 자기소개서, 추천서(2인) 등을 이메일(info@akcse.org)로 제출하면 된다. 성적표는 발행기관에 의해 봉인된 우편(1133 Leslie St., #206, North York, Ontario M3C 2J6)이나 공식 이메일을 통해 보내야 한다.
결과는 7월 3일(월) 발표. 자세한 내용은 웹사이트(http://akcse.ca) 참조. 문의: 416-449-5204
GTA의 콘도 분양 및 판매가 지난 1분기에 1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새 콘도 프로젝트의 출시 부족으로 건설부문의 침체도 우려된다.
어바네이션에 따르면 이 기간 판매되지 않은 콘도 재고가 7년 만에 최고치로 증가했다. 평균 가격은 8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상승했다.
이 기간 신규 콘도 판매는 2,360 유닛으로 작년 동기(9,242유닛)보다 74% 급감했다. 이는 금융위기를 겪은 지난 2009년 1분기 이후 가장 부진한 것이다.
어바네이션의 션 힐더브랜드 사장은 “최근 새 콘도 출시가 부족하다는 것은 토론토 지역이 10년 만에 처음으로 건설 침체를 앞두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새 콘도 판매 부족으로 인한 시차 효과도 있다. 일자리를 빼앗기고, 향후 몇 년간 공급이 늦춰진다. 콘도 분양이 부진하면 밀접하게 연결된 지역경제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비록 1분기에 콘도 신축이 활발했지만 이는 1년 전의 분양에 따른 것이다.
그럼에도 콘도 업계가 안정을 찾아가는 몇 가지 징후도 나타났다. 지난 4월에 예외적으로 활기를 보였고, 기존 콘도 시장은 1분기에 활동을 되찾았다. 이에 평방피트당 가격이 전 분기 대비 1.5% 올랐다.
이 보고서는 TRREB에서 급격한 임대료 상승으로 인해 콘도 판매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후에 나왔다.
TRREB은 콘도 임대료가 급등하면서 무리해서라도 소유하려는 동기를 갖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CMHC는 올해 GTA 주택 착공이 30%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한편, 어바네이션에 따르면 1분기 미분양 콘도 수가 작년 같은 기간(4년 최저치)보다 73% 급증했다. 7년 만의 최고 재고로 12개월 평균 판매량 기준 13.2개월치에 해당한다. 이는 1년 전 사상 최저치인 3.2개월과 10년 평균인 8.4개월을 훨씬 상회하는 것이다. (김효태 기자 | htkim22@gmail.com)
광역토론토(GTA) 콘도미니엄의 임대료는 치솟고, 구입가격은 하락하면서 무리해서라도 집을 장만하려는 동기를 부여할 것으로 보인다.
GTA의 지난 1분기 콘도 평균 월세가 작년 동기 대비 15% 오른 가운데 토론토부동산위원회(TRREB)에 따르면 세입자들이 계속 뛰는 월세를 부담하느니, 첫 집을 마련하는 바이어로 시장에 돌아올 발판이 마련되고 있다.
TRREB은 “이자율 상승에 따른 차입 비용이 높아지면서 콘도 구입이 일시적으로 잠잠해졌다. 그러나 최근 입소스의 여론 조사에 따르면 지난 2년 동안 월세의 두 자릿수 상승에 따라 부분적으로 첫 주택마련자의 활동이 눈에 띄게 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콘도 구입에 따른 매월 모기지 부담액이 현재 월세 수준에 가까워졌다. 주택을 소유하면 장기적으로 자산 가치의 상승이라는 추가적인 이점도 있다”고 강조했다.
이 기간 GTA의 콘도 아파트 판매는 4,519채로 전년 동기 대비 42.9% 급감했다. 평균 가격은 70만566달러로 11.4% 하락했다.
같은 기간 콘도 거래의 3분의 2를 차지한 토론토시의 평균 가격은 72만6,664달러로 10.3% 떨어졌다.
TRREB 수석 분석가 제이슨 머서는 “수요 증가와 제한된 공급으로 인한 임대료가 급등하면서 많은 세입자들이 향후 소유권 시장으로 돌아설 것이다. 첫 집 장만자가 돌아오면 2023년 내내 콘도 판매와 가격 모두 상승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공급이 크게 증가하지 않으면 월세는 계속 뛸 수 있다. 시장이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임대 공급이 필요하다. 특히 임대전용 형태로 나와야 하며, 이의 개발을 연방, 주, 지자체가 확고한 정책으로 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TRREB에 따르면 2023년 1분기에 GTA 전역에서 1만525 유닛의 콘도 아파트가 임대돼 작년 동기보다 4% 증가했다.
이 기간 1베드룸 평균 월세는 2,474달러로 15.1%, 2베드룸이 3,162달러로 9.2%, 3베드룸은 4,152달러로 15% 각각 올랐다. 특히 바첼러 유닛이 2,014달러로 16.2%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김효태 기자 | htkim22@gmail.com)
이자율 상승 부담에 주택소유자 1/3은 30년 이상의 장기 모기지로 갈아 타고 있다. 이에 금융감독원(OSFI)은 표준적인 25년 모기지가 사라지고 금융기관이 ‘더 큰 손실위험’에 처할 수 있음을 우려하고 나섰다.
이러한 장기 상환기간은 금감원의 최근 관찰 대상이다. 현재 CIBC은행은 30년 이상 모기지 비율이 30%, 로열(RBC)은행 25%, 몬트리얼(BMO)은행 32%를 각각 넘어섰다.
TD은행은 모기지 월 상환액을 감당하지 못하는 고객에게 최장 40년까지도 연장해주고 있다. 많은 주요 시중은행들이 어려움을 겪는 고객들의 모기지 대출 전액 상환기간을 늘려주고 있는 것.
캐나다에서는 주택소유자가 처음 모기지를 받을 때 일반적인 상환기간이 25년이다. 하지만 다운페이먼트를 20% 이상 하면 더 길어질 수 있다.
RATESDOTCA의 모기지 전문가 빅터 트랜은 “일단 모기지를 받으면 주택소유자는 상환기간을 25년 이상으로 연장할 수 있고, 대출기관은 갱신 시점에 특정 고객에 대해 예외를 둘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대출기관이 고객에게 원래 계약기간으로 갱신을 강요하면 높은 상환액을 감당하지 못해 잠재적으로 집을 잃을 수 있다. 이 경우 은행은 예외를 만들 것이다”고 말했다.
특히 변동 모기지를 가지고 있는 주택소유자들이 이자율 급등으로 인한 월 상환액 부담을 낮추기 위해 상환기간을 연장하는 사례가 늘었다.
비록 주택소유자가 강제매각을 피하면서 디폴트(채무불이행)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나, 이는 더 많은 이자를 내면서 원금을 느리게 갚아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트랜은 “모기지가 트리거율(trigger rate)로 상환 연장되면 고객은 대부분 이자만 지불하고 원금은 거의 갚지 못한다. 결과적으로 대출 빚은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이다. 심지어 어떤 경우에는 월 지불액이 이자도 충당하지 못해 빚만 늘어나기도 한다”고 조언했다.
최근 OSFI는 연간 위험평가보고서를 발표하면서 주택시장을 내년에 관찰할 1순위 위험으로 지정했다. 특히 변동 모기지 상환에 대해 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이 금융기관을 규제해 주택소유자가 모기지 갱신시 원래 계약된 상환기간을 지키도록 하는 것은 주택시장의 위험을 줄이는 한 가지 방법이다.
OSFI는 “모기지 상환기간을 늘리는 것이 단기적으로 고금리에 대처하는 한 가지 방법이지만 큰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연장된 상각은 더 많은 미납액의 지속과 대출기관에 대한 더 큰 손실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계했다.
그러나 업계 관계자는 “상환기간을 연장한 덕분에 많은 변동 모기지 소유자들이 지난 1년 동안 집을 지킬 수 있었다. 은행도 자산을 청산하고 싶어하지는 않는다”고 반박했다.
그는 “대출기간을 연장하는 것은 월 상환액에 어려움을 겪는 주택소유자를 돕기 위한 주요 솔루션 중 하나다. 그렇지 않으면 모기지를 갚기 위해 다른 지출을 줄이려 허리띠를 조이는 방법밖에 없다. 아직 시장에 강제 매각이 넘치지 않기 때문에 효과 있는 솔루션이다”고 덧붙였다.
모기지 브로커 론 버틀러는 “현재로서는 주택소유자가 월 상환액을 도저히 감당할 수 없어서 신청할 때만 금융기관이 30년 이상으로 연장시켜 주고 있다. 금감원이 이를 규제하기에는 이미 너무 늦었다”고 주장했다. (김효태 기자 | htkim22@gmail.com)
광역토론토(GTA)의 임대아파트 평균 월세가 사상 첫 3천불 넘어섰다. 심각한 임대 유닛의 부족으로 월세가 계속 오르면서 업계의 우려를 고조시키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어바네이션(Urbanation)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2005년 이후 GTA에서 완공된 임대전용 아파트의 1분기 평균 월세는 사상 최고치인 3,002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작년 동기에 비해 13.8% 오른 것이다.
같은 기간 콘도미니엄의 평균 임대료는 2,741달러로 13.6% 상승했다.
어바네이션의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임대아파트의 유닛이 콘도보다 넓고, 새 아파트들의 경우는 고품질의 마감재와 편의시설을 갖추고 있다. 게다가 임대전용 아파트는 세입자 퇴출에 법적 보호를 받기 때문에 콘도보다 월세가 더 비싸다.
션 힐더브랜드 어바네이션 대표는 “최근 임대료 상승이 둔화되고는 있지만 이미 크게 올라 매우 우려되는 상황이다”고 밝혔다.
임대전용 아파트의 월세 상승률은 작년 2분기에 연간 17%, 4분기 15%에서 올해 1분기 13.8%로 둔화됐다. 그러나 여전히 정상적인 수준보다 훨씬 높다. 임대아파트의 10년 평균 월세 상승률은 5.5% 정도였다.
콘도의 경우는 임대료가 뛰면서 세입자들이 바첼러나 1베드룸 같은 작은 유닛을 선택하고 있다. 어바네이션에 따르면 콘도 2베드룸의 평균 월세가 3,125달러인 반면 바첼러 유닛은 2,124달러로 훨씬 낮다.
한편, 임차 수요는 내집 장만의 어려움, 고학력 이민자, 강한 고용시장의 영향으로 뜨겁다. 이 기간 임대전용 아파트의 공실률은 1.8%로 5분기 연속 2%를 밑돌았다.
힐더브랜드는 “GTA 임대시장의 공급은 올해 1분기에 매우 부족했다. 앞으로 단기적으로 늘어날 수 있지만 많은 수요를 감당하기에 충분치 않다. 임대아파트 월세가 3천 달러를 넘었음에도 지난해 임대용 건축이 60% 이상 감소한 것은 개발업자들이 직면한 경제적 어려움을 드러낸다”고 소개했다.
개발업자들은 임대전용 신축 공사를 축소하고 있다. GTA에서 올해 완공은7,520채 추가될 예정이나(2022년 대비 174% 증가), 착공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 지난 1년간 임대아파트 착공은 2,997채로 62% 급감했다.
임대전용 아파트 건설을 어렵게 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금리 상승과 팬데믹 이후 급등한 개발비용을 꼽았다.
어바네이션은 현재 건설 중인 2만 유닛의 임대주택이 수요를 충족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GTA에서 계획된 총 11만6,000 유닛이 아직 착공되지 않았으며, 약 4만 유닛만이 개발 승인을 받은 상황이다. 무엇보다 임대주택을 짓겠다는 개발업자들의 의지가 약하다.
치솟은 월세는 GTA의 저소득층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이 분야의 전문가는 “저임금 노동자의 경우 직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사해 월세를 낮출 수 있지만 통근 시간이 길어진다. 이에 직장 근처에 머물기로 하면 기껏해야 좁은 방 하나에 요리용 핫플레이트, 공용 욕실 밖에 감당할 수 없다”고 우려했다. (김효태 기자 | htkim22@gmail.com)
캐나다 주택가격지수가 지난달 기록적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악화된 것.
지난 3월 Teranet-National Bank 주택가격지수(HPI)는 연간 6.9% 하락했다. 이는 캐나다 전역 11개 대도시의 평균 주택가격 변화를 나타내는 독자적으로 개발된 지수다.
토론토의 이 가격지수는 12.1%나 하락했다. GTA에서 오샤와(19.3%), 구엘프(15.8%), 해밀턴(13.5%), 배리(13.3%)의 하락폭은 더 컸다.
반면, 캘거리(7.6%), 퀘벡(4.1%), 에드먼턴(2.2%) 등 3개 도시의 HPI는 상승했다.
이와 관련 National Bank의 이코노미스트 다렌 킹은 “팬데믹 2년간 집값의 기록적인 상승 후에 캐나다 중앙은행의 신속한 금리인상 조치로 하락했다. 지금 바이어와 매도자 모두 금리가 어느 방향으로 갈지 지켜보고 있다. 현재 주택마련 능력은 끔찍한 수준이며, 시장이 대부분 얼어붙은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중은의 기준금리 결정에 달려있다. 8번 연속 인상한 후 지난 2번은 4.5%로 유지했다. 많은 실직과 함께 경기침체가 발생하면 집값에 추가 하락압력이 가해질 것이지만 현재 그렇게 보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향후 6개월 동안, 즉 연말까지 집값이 5% 더 하락할 것이다. 하지만 내년 초에는 상승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로열르페이지 카렌 욜레브스키 COO는 “캐나다의 거의 모든 시장에서 작년 초에 최고 가격이었고, 이후 연속적인 금리 인상으로 하락을 보였다. 그러나 금리 동결에 따라 일부 바이어가 다시 찾아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구매자의 신뢰가 회복되고 있지만 가용 주택 재고가 부족해 집값상승 압력을 가하고 있다. 앞으로 더 작은 폭의 가격 하락 또는 일부 상승을 보게 될 것이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킹은 봄 시장이 항상 겨울보다 활기였기 때문에 계절성에 관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계절적 조정을 거친 가격지수는 지난 3월 전국적으로 월간 0.8% 하락하며 9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갔다. 토론토에서는 전월보다 1.9% 하락했다.
킹은 “중은이 아마도 연말이나 내년 초에 금리를 인하할 것이다. 그때에 주택시장의 활발한 상승을 기대한다”고 강조했다.